깨진 유리창 법칙

이 번 글에서는 누구나 한 번씩은 들어봤을 법한 법칙, 깨진 유리창 법칙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90년대 초까지 뉴욕은 수많은 범죄와 불법으로 대표적인 범죄도시로 추락하고 있었습니다. 저도 1994년경 미국 출장에서 뉴욕 지하철을 한 번 탈기회가 있었는데 대낮임에도 왠지 모를 불안함이 엄습해올 정도로 황량하고 어둡고 지저분하였습니다.

같은 해에 뉴욕시장이 된 루돌프 줄리아니는 근본적인 개혁을 얘기하면서 살인강도와 같은 강력 범죄 단속이 아닌 지하철 낙서와 각종 경범죄를 단속하여 근절시키겠다고 선언합니다. 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의아해하고 크게 비웃었습니다.

그러나 그 결과는 매우 놀라웠습니다. 매년 발생하던 수천 건의 살인 사건이 절반 가까이 감소하면서 정상적인 도시로 다시 변화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뉴욕시의 이야기는 깨진 유리창 법칙에 대한 실례로 항상 인용되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미국의 범죄학자인 제임스 윌슨과 조지 캘링이 1982년 3월 월간 애틀랜틱에 실었던 글, 'Fixing Broken Windows: Restoring Order and Reducing Crime in Our Communities'이 바로 깨진 유리창의 법칙입니다.

'깨진 유리창을 고치면 질서가 회복되고 범죄가 감소한다'

자동차의 깨진 유리창과 같이 작고 사소한 무질서를 조치 없이 방치하면 이를 목격한 사람들은 절도나 폭력과 같은 강력 범죄에 대해서도 대응이 미비할 것으로 생각하고 마구 행동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소한 무질서를 내버려 두지 않고 질서 정연한 상태로 정비하고 유지하면 큰 범죄와 사건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처음에는 한 두 사람이 쓰레기를 버리지만 이를 방치하면 주변이 쓰레기장이 됩니다. 아무 데나 휴지나 담배꽁초를 버리는 사람은 더 이상의 불법적인 행동도 거리낌 없이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법칙은 비단 범죄나 치안에만 해당되지 않습니다.

한때 미국 1위 마트 회사였던 K마트도 고객 서비스 부재라는 '깨진 유리창'을 방치하여 결국 법정관리 신세가 되었고 역시 미국 생수 1위 업체였던 페리에는 초기 벤젠 오염에 대한 '깨진 유리창'을 무시하여 에비앙에게 시장을 빼앗기고 타회사에 합병되었습니다.

큰 인물이 되려면 크게 생각하고 크게 행동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깨진 유리창의 법칙은 작은 일을 무시하면 큰 일까지 그르칠 수 있다는 경고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는 이전에 살펴보았던 하인리히 법칙과도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1년, 5년, 10년 큰 계획을 실행하는 바로 오늘, 바로 이 순간에 해야 할 작은 일을 해야 하는 것, 이미 큰 부자들이 오히려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있는 작은 지출들을 하지 않으려고 무던히 노력한다는 사실, 모두 깨진 유리창의 법칙이 시사하는 바가 아닐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