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학에서는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네 가지로 분류하는 '사상체질' 이론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혹시 어디에 속하는지 아시나요?
이번 글에서는 각 체질의 특징부터 주의해야 할 건강 이슈 그리고 추천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태양인
특징
폐의 기능이 좋고 간의 기능이 약한 체질로 신경성 식도경련과 다발성 근무력증 등이 자주 올 수 있습니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어 구별하기 어려운 체질로 외형적으로는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머리가 큰 편입니다.
상체가 발달한 것에 비해 하체가 빈약하기 때문에 오래 앉아 있거나 서 있지 못하지만 과단성 있는 지도자나 독재자 타입으로 사고력과 사교성이 뛰어나며 자존심과 진취적인 기상도 높습니다.
창의성도 높아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기 발한 착상을 하는 경우가 많으나 일이 뜻대로 풀리지 않으면 쉽게 화를 내기도 합니다.
추천 음식
간 기능이 약하므로 간을 보호하는 음식이 좋습니다. 따라서 맛이 담백하고 지방질이 적어 쉽게 소화되는 해물류와 채소류가 상대적으로 좋습니다.
칼로리가 높은 고단백 식품을 자주 먹으면 간에 부담을 주어 간염과 같은 질병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태음인
특징
간의 기능이 좋고 폐, 심장, 대장, 피부의 기능이 약한 체질을 말합니다. 심장이 약하고 겁이 많아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세를 자주 보이고 조금만 몸을 움직여도 땀을 많이 흘리게 됩니다.
외형적인 특징이 뚜렷하여 확연히 구분되는 경우가 많은데 골격이 크고 뚱뚱한 사람이 많기 때문입니다.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손발이 크며 무게가 있어 걸음이 안정돼 보이지만 상체를 다소 숙이고 걷는 편입니다.
말이 적어 조용한 편이지만 이해타산을 따지는 데는 뛰어나고 한번 시작한 일은 소처럼 노력하여 성취하려고 하기 때문에 성공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추천 음식
체구가 크고 위장 기능이 좋은 편이어서 과식하기가 쉬우므로 비만, 고혈압 등에 걸리기 쉽습니다. 따라서 자극성이 있는 식품이나 지방질이 많은 음식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흡기와 순환기 계통이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허약한 폐 기능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콩, 율무 등이 몸에 좋습니다.
소양인
특징
비장의 기능이 좋고 신장의 기능이 약한 체질입니다. 몸에 열이 많아 냉수를 즐겨 마시는 편이며 전체 인구 중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비교적 구별하기 쉬운 체형입니다.
상체는 잘 발달되었으나 하체가 약해 걸음걸이가 가벼워 보이며 머리가 작고 둥근 편이지만 눈매가 다소 날카로워 보이고 턱은 뾰족한 편입니다.
남을 위해 일하는데 보람을 느끼는 이타적이고 의리를 중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밖으로 나다니기를 좋아하여 자신의 일이나 가정에는 소홀하기 쉽습니다.
판단력은 빠르지만 계획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의 시작은 잘 하지만 체념도 쉬워 마무리가 잘 되지 않는 편입니다.
추천 음식
소화기에 열이 많으므로 성질이 서늘한 음식이나 채소류, 해물류 음식이 좋습니다. 열이 있는 음식이나 고추, 생강, 파, 후추, 겨자, 카레 등 맵고 자극적인 조미료가 들어간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음인
특징
신장의 기능이 좋고 비장의 기능이 약한 체질입니다. 소화기능이 좋지 않아 뱃속에서 소리가 자주 나는 편이고 잔병치레가 많지만 성인병은 잘 걸리지 않는 편입니다.
외형상으로 볼 때는 상체보다는 하체가 균형 있게 발달해 있어 상하의 균형이 잘 잡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체구가 작은 사람들이 많고 이목구비와 용모가 오밀조밀하여 미인들이 많은 체형입니다.
이마가 약간 나와 있고 피부가 부드러우며 걸음걸이도 얌전한 편입니다. 사교적인 성격이지만 내성적이고 소극적인 면이 있고 겉으로는 부드럽고 겸손한 듯하지만 마음속으로는 강인하고 치밀한 면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머리가 총명하고 판단력이 빠르며 조직적이면서도 사무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추천 음식
소화기능이 약하고 소식하는 체질이므로 감자, 양배추 등 따뜻한 성질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량의 조미료를 사용해 식욕을 높여 주는 것이 좋으며 소화하기 힘든 지방질 음식이나 찬 음식, 날 음식은 설사를 유발하기 쉬우니 피해야 합니다. 따라서 냉면, 참외, 찬 우유, 보리밥, 돼지고기 등을 먹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학아세(曲學阿世): 세상에 아첨하는 학문, 그 유래와 교훈 (2) | 2025.04.13 |
---|---|
KT 공유기 보안 강화: 무선랜명과 암호 확인 및 변경 가이드 (0) | 2025.04.13 |
지구 중심을 통과하는 터널 문제 쉽게 풀기: 재미있는 과학 (1) | 2025.04.02 |
달걀이 작은 구멍을 통과할 수 있을까? 신기한 과학 이야기 (0) | 2025.04.01 |
부중치원(負重致遠)의 의미와 현대적 교훈: 리더의 조건 (1) | 2025.03.31 |